최근 인터넷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많은 이들이 한글 맞춤법에 기반을 두지 않은 언어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 특별히 사이시옷을 남발하는 사례가 있는데요.
저 같은 경우엔 강의시간에 교수로부터 '잇점'과 '촛점'이 맞는 표현이라는 말까지 듣게 되어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한글 맞춤법에서의 사이시옷은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사이시옷이란 합성어에서 원래 없던 시옷이 받침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대한민국의 한글 맞춤법 제 30항에 규정되어 있다. 귓밥, 나룻배, 아랫니, 냇물, 깻잎, 나뭇잎, 텃세, 핏기 등은 사이시옷이 적용된 예이다.
하지만 위의 경우는 순 우리말끼리의 합성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점(利點) 및 초점(焦點)과 같은 한자어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물론 한자어의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사용되는 단어가 있는데 그것은 숫자(數字), 곳간(庫間), 찻간(車間), 횟수(回數),
찻방(茶房)툇간(退間), 셋방(貰房) 6가지입니다.
한글은 우리 모두의 것입니다. 우리가 가꾸고 다듬어야 할 우리의 언어이며 우리가 바르게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언어적인 유희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은 저도 자주 사용하기에 불만이 없지만 모르고 틀리는 경우... 그리고 그 틀린점을 지적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 겸허히 받아들였으면 하는 간절한 소망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