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KBO리그의 ABS에 대해

야구/야구잡담

by Bischoff 2024. 12. 24. 09:30

본문

반응형
 

2024 KBO리그는 치열한 경쟁과 새로운 변화 속에서 KIA 타이거즈의 우승으로 막을 내렸다. 이번 시즌은 특히 리그 전반에 걸친 혁신이 돋보였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ABS(Auto Ball-Strike System)의 도입이었다. ABS는 스트라이크와 볼 판정을 자동화하여 심판의 오심을 줄이고 경기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으로, KBO 리그의 경기 운영 방식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오래된 야구인들 중 일부는 ABS(Auto Ball-Strike System)에 대해 "스포츠는 공정함이 기본인데, 키 큰 선수와 키 작은 선수가 다른 스트라이크존을 갖는 것이 말이 되느냐?"라는 비판을 제기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야구의 본질과 규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발언으로 보인다.

스트라이크존의 정의는 홈플레이트의 폭과 타자의 신체 비율에 따라 조정되며, 이는 야구가 단순히 신체적 능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기술적, 전략적 측면을 중시한다는 철학을 반영한다. ABS의 도입으로 이러한 규칙은 더욱 정밀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심판의 주관적 요소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키가 다른 선수에게 동일한 스트라이크존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은 마치 농구에서 키가 작은 선수와 큰 선수가 같은 높이의 림을 놓고 공정성을 논하는 것처럼 무리한 발상이다. 야구는 타자의 신체적 특성과 경기력을 최대한 고려하여 공정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스포츠이며, ABS는 이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결국, 규칙에 대한 이해 없이 단순히 전통적 관점에서 ABS를 비판하는 것은 야구의 발전과 공정성을 저해하는 행위일 뿐이다. 야구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진화해왔으며, ABS는 그 과정의 일부로 평가받아야 한다.


물론 2024 시즌에 운영된 ABS의 기준은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 특히, 순수한 신장만으로 특정 비율을 계산해 스트라이크존을 일률적으로 지정한 방식은 타자들의 다양한 타격 스타일과 스탠스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 이는 야구가 지닌 창의적이고 유동적인 특성을 무시한 채, 지나치게 기계적이고 단순화된 접근을 취한 결과다.

예를 들어, 독특한 스탠스를 가진 타자들은 타격 자세에 따라 스트라이크존의 높이와 폭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전통적인 타격 자세가 아닌 로우 스탠스를 사용하는 타자는 일반적인 신체 비율로 계산된 스트라이크존이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타격 시 상체를 세우는 하이 스탠스를 사용하는 타자는 지나치게 낮은 스트라이크존으로 인해 불리함을 겪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현상은 ABS가 타격 자세를 기준으로 스트라이크존을 설정하도록 규정한 야구 규칙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ABS는 야구의 공정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임에는 분명하지만, 2024 시즌의 경험을 통해 그 한계와 문제점도 명확히 드러났다. 보다 정교한 시스템과 규정 보완을 통해 타자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공정한 판정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